EC2 컨테이너 생성시에 받아둔 .pem 확장자 키페어 파일이 위치한 경로로 이동한다. (base) % cd nimda_key(base) % lsnimda-server-key-pair.pem 보안을 위해 읽기 권한을 부여한다.chmod 400 [파일경로]/[키체인이름].pem ssh 명령어를 통해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접근하면 된다. Are you sure you wna to continue ... 라는 처음 접근하는 아이피 주소에 대한 보안 경고 메시지가 뜨는데 yes를 입력한다. ssh -i [키페어_주소] [AWS_사용자명]@[EC2주소]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yes/no/[fingerprint])? yes
h2 Database sh 파일 실행 시 premission denied 접근 권한 없음 현상 발생 (base) xxx@xxx-ui-noteubug bin % ./h2.shzsh: permission denied: ./h2.sh ls -l 명령어를 입력해 파일 접근 권한 출력 가장 앞의 -는 일반 파일, d는 디렉토리를 의미한다.그 뒤 9문자는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의 r(읽기) w(쓰기) x(실행) 권한이다.(base) xxx@Xxx-ui-noteubug bin % ls -l h2.sh-rw-rw-r--@ 1 xxx staff 109 8 10 2024 h2.sh chmod +x file_name 으로 해당 파일에 대한 실행 권한 추가 후 실행(base) xxx@xxx-ui-noteubug ..
인텔리제이를 사용해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여러 개 실습하다 보니프로세스 포트를 제대로 끊어주지 않아 포트가 충돌하는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했다.매 번 찾아보는것도 번거로워서 그냥 블로그에 따로 정리해 두고자 한다. lsof -i :8080 Terminal로 lsof 명령어를 사용해 특정 포트번호를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을 출력한다.lsof는 list open files의 약자로 시스템에서 열려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해 주는 리눅스 명령어다. 해당 포트를 점유중인 프로세스 아이디(PID)를 찾아 kill 명령어를 사용해 강제로 종료한다.kill -9 66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