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포스팅은 깃허브(GitHub)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정리한 것으로, 개인적인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 이기에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Git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신 분은 Git 카테고리의 글을 먼저 읽고 GitHub 포스팅을 읽어 주세요. [목차] #1 GitHub? #2 원격 저장소 생성 #3 지역 저장소 생성 및 연결 [목표] - 깃허브(GitHub)를 이용해 원격 저장소를 생성하고, 지역 저장소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1 GitHub? [Git] 카테고리 에서 자신의 컴퓨터에서 작업한 뒤 작업물을 컴퓨터 안에 커밋하는 과정에 대해서 정리했다. 이 저장소를 지역 저장소 (local repository) 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런 작업물을 지역 저장..
* 다음 포스팅은 깃(Git)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정리한 것으로, 개인적인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 이기에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Window 운영체제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목차] #1 수정한 파일 되돌리기 : git checkout -- 파일이름 #2 스테이징 되돌리기 : git reset HEAD 파일이름 #3 커밋 되돌리기 : git reset HEAD^ , git reset --hard 커밋 해시 , git revert #3.1 최신 커밋 취소하기 : git reset HEAD^ #3.2 특정한 커밋으로 되돌리기 : git reset --hard 커밋 해시 #3.3 삭제하지 않고 커밋 되돌리기 : git revert 커밋해시 #1 수정한 파일 되돌리기 : git ch..
* 다음 포스팅은 깃(Git)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정리한 것으로, 개인적인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 이기에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Window 운영체제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목차] #1 tracked & untracked #2 tracked 파일의 상태 : unmodified modified staged #1 tracked & untracked 작업트리에 존재하는 파일은 크게 tracked 상태와 untracked 상태로 분류된다. 한 번이라도 버전 관리를 수행한 파일은 깃이 파일의 상태를 추적하는데, 깃이 추적하고 있는 파일을 tracked 상태로 정의한다. 반대로 버전 관리를 수행하지 않은 파일은 깃이 상태를 추적하고 있지 않다고 하여 untracked 상태라고 한다. ..
* 다음 포스팅은 깃(Git)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정리한 것으로, 개인적인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 이기에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Window 운영체제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목차 #1 깃 상태 확인 : git status #2 스테이징 : git add #3 커밋 : git commit #4 저장소에 저장된 버전 확인 : git log * --stat 옵션 #5 스테이징 & 커밋 일괄 처리 : git commit -am ... BEFORE START #3 깃 버전 관리 VOL1 포스팅 에서 깃 저장소를 만들고 , 버전 관리에 대한 전체적인 개요와 용어들을 소개 하였다. 이번 포스팅 에서는 실제로 명령어를 통해 스테이징과 커밋을 실습해 보고자 한다. #1 깃 상태 확인 : gi..
* 다음 포스팅은 깃(Git)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정리한 것으로, 개인적인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 이기에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Window 운영체제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목차] #1 깃 초기화 - git init #2 전체 개요 [Goal] * 깃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이해 * 작업 트리 , 스테이지, 저장소의 관계에 대한 내용 이해 ... BEFORE START 이번 포스팅 부터 여러 편에 걸쳐 깃(Git)을 이용해 버전 관리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 하고자 한다. '버전' 이란 특정 문서를 수정 혹은 저장할 때마다 생기는 것으로 번호 등을 통해 구별된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버전들의 시간과 수정 내용 등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을 버전 관리 시스템 이라고 부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