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기록하는 용도로 작성한 글 이기에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String.prototype.startsWith ES6에서 새로 도입된 메서드로 대상 문자열이 인수로 전달받은 문자열로 시작하는지 확인하여 그 결과를 true of false로 반환합니다. #Example const str = 'Nov log'; // 문자열 str이 'Nov'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 str.startsWith('Nov'); // true // 문자열 str이 'x'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 str.startsWith('x'); // false String.prototype.startsWith 메서드의 2번째 인자로 검색을 수행할 시작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const str = ..
#1 기본형 데이터의 메모리 영역 변화 #2 참조형 데이터의 메모리 영역 변화 #3 중첩 객체의 메모리 영역 변화 * 다음 포스팅은 개인적인 공부 용도로 코어 자바스크립트 [Core Javascript] 도서를 읽고 정리 및 요약한 글 이며,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1 기본형 데이터의 메모리 영역 변화 var a; 프로그래머가 위와 같이 변수를 선언할 시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변수를 선언하면 비어있는 메모리 공간을 찾아 확보하며, 이 공간의 이름(식별자)를 a라고 지정한다. var a = 'javascript'; 다음으로 선언한 변수 a에 'javascript'라는 문자열을 할당하면 예상과 달리 변수영역에 값을 직접 대입하지 않는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
*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기록하는 용도로 작성한 글 이기에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내용을 추가 및 수정할 예정이며, 잘못된 내용에 대한 지적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관련 포스팅 _함수 선언문 _익명함수 _콜백함수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 앞선 포스팅에서 함수표현식과 함수선언문을 이용해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S6버전부터 지원하는 =>표기법(화살표 표기법)을 사용해 함수선언을 더욱 간단하게 작성하는 화살표 함수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화살표 함수의 기본형은 다음과 같다. // 매개변수가 없는 경우 var/let/const 함수명 = () => { 실행문 }; // 매개변수가 있는 경우 var/let/const 함수..
*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기록하는 용도로 작성한 글 이기에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내용을 추가 및 수정할 예정이며, 잘못된 내용에 대한 지적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_미완성된 글 입니다. # 콜백함수 콜백함수란 함수 안에 파라미터 형태로 들어가는 함수를 의미한다. 콜백함수를 이용하면 함수의 매개변수로 함수를 전달해 코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작성할 수 있다. 다음 코드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자. ask 함수 파라미터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question : 문자열을 입력받아 confrim 메시지 창에 출력한다. yes : confirm의 yes를 눌렀을 때 실행되는 함수이다. no : confrim의 no를 눌렀을 때 실행되는 함수이다. function ask(que..
* 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기록하는 용도로 작성한 글 이기에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지속적으로 내용을 추가해 나갈 예정이며 지적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JS] 함수 선언문 에서 함수 선언문 (Function Statement) 방식을 이용해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했다. 이번 포스팅 에서는 함수 표현식 방법중 익명 함수를 이용해 함수를 선언 및 실행 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 하고자 한다. # 익명 함수 호이스팅 사용이유 정리 # 익명 함수 JavaScript는 함수를 다른 언어와 달리 "특별한 종류의 값"으로 취급한다. 따라서 JS에서는 함수를 변수에 대입할 수 있다. 익명 함수란, 단어 뜻 그대로 이름이 없는 함수로 함수를 재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익명 ..